리눅스 파티션 3

리눅스 파티션 ⑥영구 마운트

이전 포스팅에서 mount 파티션경로 파일경로 명령어로 파일시스템을 마운트 했습니다. 이렇게 수동으로 마운트할 경우에는 리부팅 시 초기화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부팅 시 파일 시스템이 자동으로 마운트 되도록 하려면 /etc/fstab 파일에 마운트 항목을 추가해야 합니다. [ sdb1 파티션 영구 마운트하기 ] 1. UUID 확인 lsblk --fs 파티션경로 UUID를 /etc/fstab 파일에 적어야 하니 복사를 해줍니다. 저는 이미 수동 마운트(mount /dev/sdb1 /mnt)를 한 적이 있어서 마운트 포인트(/mnt)가 이미 존재합니다. 마운트 포인트가 없더라도 다음 과정에 문제는 없습니다. 2. /etc/fstab 파일 수정 vi /etc/fstab 위에서 확인한 UUID와 마운트 포인트(..

parted 명령어 ①디스크 파티션 관리하는 방법

이전 포스팅: fdisk로 파티션 관리 [ parted 명령어 사용 방법 ] 1. 단일 명령: parted parted /dev/sda print 2. 대화형 모드: parted parted /dev/sda [ parted unit 크기 ] 섹터 s 바이트 B 메가바이트 MB(10의 거듭제곱) MiB((2의 거듭제곱) 기가바이트 GB(10의 거듭제곱) GiB((2의 거듭제곱) 테라바이트 TB(10의 거듭제곱) TiB((2의 거듭제곱) # 섹터 단위로 조회 parted /dev/sda unit s print [ 새 디스크에 파티션 테이블 작성: mklabel] mklabel 명령은 기존 파티션 테이블을 지우므로 사용 시 주의해야 한다. 기존 데이터에 관계없이 디스크를 재사용하려는 경우 사용한다. parte..

리눅스 파티션 ③ LVM(Logical Volume Manager) 개념, 방법

이번에는 디스크 용량을 볼륨으로 나눠서 관리하는 LV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단순히 파티션을 나눴던 것과 다르게 논리적 개념인 볼륨으로 나눠서 스토리지 확장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즉, 이미 나눠버린 파티션에 다른 디스크의 용량을 추가하거나 줄이는 등의 작업이 쉬워지게 됩니다. 순서는 파티션을 나눴던 것과 비슷합니다. 파티션 → PV생성 → PG생성 → LV생성 → 파일시스템 → 마운트 중간에 PV생성, PG생성, LV생성이라는 과정이 추가됐는데요. PV(Phygical Volume)란 LVM을 사용하기 위한 물리적 디스크를 지정하는 작업으로, /dev/sda1, /dev/sda2 등의 블록 스토리지를 LVM으로 사용하기 위한 초기화 작업입니다. VG(Volume Group)는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