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엔지니어만들기

  • 홈
  • 태그
  • 방명록

VM 2

VitualBox ssh 연결(포트포워딩 방법)

Oracle VirtualBox에서 VM 생성 후 ssh 연결하는 방법  1. 호스트 IP확인  `파일 > 도구 > 네트워크 관리자 > 호스트 전용 네트워크` 에서 호스트 IP 확인     IPv4 접두사에 있는 192.168.56.1 주소가 내가 접근 가능한 VM 주소다.   2. VM 네트워크 확인`VM 설정 > 네트워크` 에서 `다음에 연결됨` 을 NAT 네트워크로 설정    3. 포트포워딩 `파일 > 도구 > 네트워크 관리자 > NAT 네트워크` 에서 `만들기` 버튼을 눌러서 생성 후 `포트포워딩`을 추가하는데, 호스트 IP가 아까 확인한 주소다. 게스트 IP는 VM 내부의 주소고(`ip ad` 명령어로 확인 가능) 게스트 포트는 ssh 연결을 할테니 22포트 사용 호스트 포트는 사용 가능한 범위..

VM 2024.12.02

Unable to connect to vCenter or ESXi API at xxx.xxx.x.xx on TCP/443: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SSL 인증서 검증 실패로 인한 에러 메세지. SSL/TLS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증하지 않도록 validate_certs: false 옵션을 추가해주면 된다. 참고: https://docs.ansible.com/ansible/latest/collections/community/vmware/vcenter_folder_module.html community.vmware.vcenter_folder module – Manage folders on given datacenter — Ansible Documentation © Copyright Ansible project contributors. Last updated on Jun 26, 2023. docs.ansible.com

VM 2023.07.06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구름엔지니어만들기

☁️⚙️🛠️☁️

  • 분류 전체보기 (206)
    • Network (6)
    • Linux (37)
      • 리눅스 및 터미널 명령어 (6)
      • 사용자 및 그룹 관리 (3)
      •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6)
      • 디스크 관리 (8)
      • 패키지 관리 (3)
      • 서버 서비스 (2)
      • ※에러※ (6)
      • 기타 (3)
    • Ansible (5)
    • Go (2)
    • VM (2)
    • AWS (61)
      • AWS Architecting (11)
      • Terraform (23)
      • 인프라 구축 (23)
      • ※에러※ (4)
    • Docker & Kubernetes (18)
      • 쿠버네티스 (9)
      • 도커 (4)
      • ※에러※ (5)
    • RedHat 시스템관리 (12)
    • window 환경에서 개발하기 (23)
      • Git (9)
      • Flask (4)
      • 기타 (5)
      • ※에러※ (5)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엔지니어 양성 과정 (30)
      • 후기 (28)
      • 프로젝트 (2)
    • 후기 (9)

Tag

flask,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Partition, AWS Architecting, 권한, 에티버스러닝, terraform, k-digital training, redhat, linux, 파티셔닝, 파일시스템, Redhat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엔지니어 양성 과정, file system, GIT, ansible, AWS Terraform, AWS, Mount,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