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m 3

리눅스 파티션 ⑤ LVM 초기화

초기화 순서는 분할과 반대로 진행합니다. 마운트 해제 → 파일시스템 초기화 → LV 삭제 → VG 삭제 → PV 삭제 → 파티셔닝 초기화 1. 마운트 해제 마운트 해제 명령어는 umount 파일명 입니다. umount /lv1 /lv2 /lv3 2. 파일시스템 초기화 파일시스템 초기화 명령어는 wipefs --all --force LV경로 입니다. 마지막에는 blkid 명령어로 파일시스템 상태를 재확인합니다. wipefs --all --force /dev/pmh/pmh1 wipefs --all --force /dev/pmh/pmh2 wipefs --all --force /dev/pmh/pmh3 blkid 3. LV(Logical Volume) 삭제 LV 삭제 명령어는 lvremove LV경로 입니다. 정..

리눅스 파티션 ④ LVM 용량 추가

이전 포스팅에서 sdb 디스크의 LV를 3개로 분할해봤습니다. 이번에는 다른 디스크의 용량을 LV에 추가하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sdc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5G가 있습니다. 여기서 1G씩 sdb1 파티션의 LV에 나눠주겠습니다. 1. sdc 파티셔닝, PV 추가, VG 추가 sdc 디스크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파티셔닝 후 PV와 VG를 추가합니다. fdisk /dev/sdc pvcreate /dev/sdc1 vgextend pmh /dev/sdc1 마지막에는 pvs 명령어로 확인해줍니다. 2. LV 확장 기존 LV 공간에서 추가 확장시키는 명령어는 lvextend -L +사이즈 LV경로 입니다. 1G씩 추가해봅니다. lvextend -L +1G /dev/pmh/pmh1 lvextend -L +1G /de..

리눅스 파티션 ③ LVM(Logical Volume Manager) 개념, 방법

이번에는 디스크 용량을 볼륨으로 나눠서 관리하는 LV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단순히 파티션을 나눴던 것과 다르게 논리적 개념인 볼륨으로 나눠서 스토리지 확장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즉, 이미 나눠버린 파티션에 다른 디스크의 용량을 추가하거나 줄이는 등의 작업이 쉬워지게 됩니다. 순서는 파티션을 나눴던 것과 비슷합니다. 파티션 → PV생성 → PG생성 → LV생성 → 파일시스템 → 마운트 중간에 PV생성, PG생성, LV생성이라는 과정이 추가됐는데요. PV(Phygical Volume)란 LVM을 사용하기 위한 물리적 디스크를 지정하는 작업으로, /dev/sda1, /dev/sda2 등의 블록 스토리지를 LVM으로 사용하기 위한 초기화 작업입니다. VG(Volume Group)는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