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티션 분할 2

리눅스 파티션 ③ LVM(Logical Volume Manager) 개념, 방법

이번에는 디스크 용량을 볼륨으로 나눠서 관리하는 LV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단순히 파티션을 나눴던 것과 다르게 논리적 개념인 볼륨으로 나눠서 스토리지 확장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즉, 이미 나눠버린 파티션에 다른 디스크의 용량을 추가하거나 줄이는 등의 작업이 쉬워지게 됩니다. 순서는 파티션을 나눴던 것과 비슷합니다. 파티션 → PV생성 → PG생성 → LV생성 → 파일시스템 → 마운트 중간에 PV생성, PG생성, LV생성이라는 과정이 추가됐는데요. PV(Phygical Volume)란 LVM을 사용하기 위한 물리적 디스크를 지정하는 작업으로, /dev/sda1, /dev/sda2 등의 블록 스토리지를 LVM으로 사용하기 위한 초기화 작업입니다. VG(Volume Group)는 P..

리눅스 파티션 ①파티셔닝(fdisk), 파일시스템(mkfs), 마운트(mount)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알아볼겁니다. 논리적 분할이란 물리적 디스크(하드디스크, ROM 등)를 파티션으로 분할하는 것을 말합니다. 윈도우의 경우에는 파티셔닝 → 파일시스템 → 드라이브명 할당 순으로 작업하지만 리눅스는 파티셔닝(Partition) → 파일시스템(File System) → 마운트(Mount) 순으로 진행될 겁니다. 실습 전에 파티셔닝, 파일시스템, 마운트에 대한 개념과 기본 명령어를 알아봅시다. 파티셔닝 물리적인 Disk를 논리적으로 분할한다. DIsk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1개 이상의 파티션이 존재해야한다. MBR방식 Primary 파티션(주 파티션)을 4개까지 만들 수 있다. 주파티션 중 1개만 확장파티션으로 만들 수 있다. 확장 파티션은 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