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리포지토리 2

리눅스 패키지 관리 ③Rocky Linux 환경에서 CentOS7 패키지 repository 구성하기

이번 포스팅은 Rocky Linux 9 CentOS-7-x86 환경에서 테스트를 하고 패키지 도구는 dnf를 주로 사용하니 참고해주세요 현재 제 cd-rom에는 C:\02_ISO\CentOS-7-x86_64-Minimal-2009.iso 파일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 에서는 sr0을 마운트 해서 CentOS의 패키지를 가져온 뒤 Local 이라는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들어볼겁니다. 우선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들기 위해서는 createrepo 라는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y 옵션을 붙여서 설치하겠냐는 질문에 자동으로 yes 대답을 하도록 합시다. dnf install -y createrepo dnf를 사용하니 의존성 패키지도 같이 설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패키지는 나중에 사용..

리눅스 패키지 관리 ②리눅스 repository 설정하기(repolist)

이번 포스팅은 Rocky Linux 9 CentOS-7-x86 환경에서 테스트를 하고 패키지 도구는 dnf를 주로 사용하니 참고해주세요 Repository? Repository란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패키지 저장소입니다. 시스템 리포지토리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은 /etc/yum.repos.d 디렉토리에 있습니다. yum이나 dnf 등의 패키지 관리 도구는 이 디렉토리의 설정 파일을 참조해서 동작합니다. repolist 명령어를 통해 repository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직접 파일을 열어서 본 repository 이름과 동일한지 확인해 볼까요? dnf repolist [옵션] all 모든 리포지토리 표시 enabled 활성 리포지토리 표시 disabled 비활성 리포지토리 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