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 Kubernetes/쿠버네티스
[Kubernetes] 네임스페이스가 다른 서비스끼리 통신하는 방법(DNS)
miracle21
2025. 3. 27. 17:25
반응형
kubernetes에는 같은 네임스페이스 내의 서비스는 서비스 이름만으로 접근이 가능하지만
네임스페이스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을 사용해서 접근해야한다.
kubernetes service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DNS 레코드가 등록되고
서비스명.네임스페이스.svc.cluster.local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edis 서비스를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면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redis
namespace: redis-service
spec:
type: ClusterIP
selector:
app: redis
ports:
- port: 6379
targetPort: 6379
IP 주소 대신 redis.redis-service.svc.cluster.local 으로 접근할 수 있다.
참고: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dns-pod-service/
서비스 및 파드용 DNS
워크로드는 DNS를 사용하여 클러스터 내의 서비스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 페이지는 이것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설명한다.
kubernetes.io
반응형